KT 에이블스쿨 복습

[0530 복습] 제안서 작성_제안서의 이해

리니끄적 2024. 5. 31. 09:47

제안서 작성 1일차 

제안서의 이해

CH1. 제안서의 이해

보고서

- 보고서는 특정 청중에게 정보를 명확하고 간결하게 전달하는 것을 목적
- 대상 독자의 요구를 고려해 내용을 조정하고, 의사결정을 내리는 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해야 함

시장조사 보고서 - 시장조사 결과를 정리하고 분석하는데 사용
- 조사목적, 방법, 결과, 결론 등
업무 보고서 - 업무진행 상황, 문제점, 개선 방안 등을 보고
- 진행상황, 예산 사용 내역, 성과측정 등을 기록
워크샵 기획 보고서 - 워크샵을 기획하거나 안내하는데 사용
- 참가자들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의사결정을 지원

 

 

기획서

- 기획서는 조직 내부에서 의사결정을 지원하고, 프로젝트나 제품의 방향성을 제시

내부의사결정 - 조직내 의사결정자들이 더 나은 선택을 할 수 있도록 함
- 신제품 출시, 효율적인 의사결정을 위한 정보제공
비전제시 - 공통의 목표를 이해하고 협업할 수 있도록 지원
자원할당 - 필요한 자원(인력, 예산, 장비 등)을 할당하는데 도움
효율성 향상 - 프로젝트나 제품의 구조를 미리 계획하고 문제점을 사전에 파악할 수 있도록 함

 

 

제안서

- 목표, 목적, 타임라인, 예산 등을 포함해 고객 또는 이해관계자가 프로젝트에 대해 알아야 할 모든 내용을 개략적으로 설명한 문서

- 고객 또는 이해관계자가 해당 제안을 '구매하고 싶도록 설득'하는 것

- 제안서는 주로 외부 파트너나 고객사에게 우리의 제품, 서비스, 프로젝트를 선택하도록 설득하는 데 사용

 

 

 

제안서의 종류

투자제안서 - 개인투자자나 기관에게 투자를 받기 위해 작성
- 사업성과 수익성, 안정성, 신뢰성 등을 강조하여 투자의 가치를 설명
제휴제안서 - 상대방과 제휴 관계를 맺고 새로운 사업을 실시할 것을 제안하기 위해 작성됨
영업제안서 - 구매자가 보유하지 못한 제품이나 서비스를 일목요연하게 설명하여 제안
개발제안서 - 새로운 제품을 제작하거나 개발하려는 기업이 사업제안을 의뢰한 기업으로부터 제안받은 사업을 어떻게 수행할지 전반적인 내용을 정리
컨설팅제안서 - 어떤 분야에 대한 전문지식을 가진 사람이 상담을 제안
용역제안서 - 기업의 핵심 역량을 기반으로 용역 업무에 관한 의뢰를 제안하기 위해 작성

 

기획서 vs 제안서

공통점 차이점
목표: 설득
구성요소: 문제 → 해결
기획서 제안서
용도: 내부
목표: 효과성
구조: 3단 구성은 Why-How-What
용도: 외부
목표: 고객이익
구조: 제안서(역피라미드)

 

컨설팅 제안서 작성 시 유의사항

1) 고객 맞춤화된 제안서: 고객의 요구사항과 기대, 고객과 논의 필요 (우리가 정의한 문제가 풀발점)

2) 명확한 역할과 책임: 컨설턴트의 역할과 고객이 달성하고자 하는 목표를 설명, 작업시간 프레임, 특정 이정표 등

3) 금전적 약속확인: 고객이 지불할 금액과 지불 방식을 확실히 정해야 함, 추가 비용 (여행/소모품 등)에 대해서도 협의

4) 경쟁업체 비교 피하기: 컨설팅사의 강점과 제공서비스의 가치를 강조

 

 

CH2. 제안서 작성 접근법

제안서 유형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과제발굴형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제안요청형

세일즈 vs 비즈니스 개발

- 수주영업 -> 비즈니스 개발 (컨설턴트)

- 수주영업: 개인 또는 소규모 팀, 다양한 지언 필요, 지식 기반 접근, 가망고객 발굴

- 비즈니스 개발: 복합팀, 강력한 프로젝트 관리, 팀 기반, 영역/기능 역량

 

 

CH3. 제안서 요소 정의

제안 구성

- 보고자 - 발표자료 - 청자(보고 받는 사람) 으로 구성

 

보고서 작성 전 핵심 활동

- 보고 받는 사람이 이번 보고에서 궁금해 하는 것은 무엇인가? 

① 문제정의 ② 해결책 ③ 실행방안

 

청자 중심 보고서 작성을 위한 시나리오 구조

**PREP**

- P(Point):  핵심 메시지

- R(Reason): 이유

- E(Example): 사례/근거

- P(Point): 핵심 메시지

 

 

제안서의 이유 - 문제 발견 (As-Is 와 To-Be 사이의 GAP)

- 보고자 - 발표자료 - 청자(보고 받는 사람) 으로 구성